건너뛰기 링크 - 컨텐츠 메뉴 바로가기
» 본문으로 바로가기

EBS

온에어
메뉴 열기
  • 로그인
  • 회원가입
  • 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검색 폼
  • 온에어 홈
  • 오늘의 TV
  • 오늘의 라디오

EBS 온에어

통합검색

통합검색 폼
  • 편성표
    • EBS 1
    • EBS 2
    • EBS KIDS
    • PLUS1
    • PLUS2
    • EBSe
    • EBS FM
    • 외국어 라디오
  • TV 다시보기
  • 라디오
  • EBS메인

  • 로그인
  •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장바구니
  • EBS소개/English
  • 고객센터
  • 더보기
    • 방송
      온에어
      EBS 1
      EBS 2
      PLUS1
      PLUS2
      EBSe
      EBS KIDS
      EBS FM
      외국어 라디오
      편성표
      TV 다시보기
      라디오홈
      EBS Kids
    • 학습
      초등
      중학
      고교
      어학
      직업
      EBSe (영어)
      EBS MATH (수학)
    • 프리미엄 학습
      프리미엄 중학
      명품 공인중개사
      명품 공무원
      명품 자격증
      EBS랑 (외국어)
    • 기타
      EBS 소개
      EBS 클립뱅크
      두리안(다문화)
      EIDF (다큐영화제)
      장애인서비스
      이벤트 / 패키지
      자유 이용권
      스페이스공감
    더보기 닫기
  • 온에어 홈
  • 오늘의 TV
  • 오늘의 라디오
마이 프로그램
  • 로그인후 이용하세요.
자유이용권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 !

  • 마이페이지
  • 장바구니
  • 온에어
  • 편성표
  • TV
    • TV다시보기 홈
    • TV프로그램
    • 방송시리즈
    • EBS핫&이슈
  • 라디오
    • 라디오 홈
    • 라디오프로그램
    • 외국어라디오
  • kids
  • 뉴스
  • 초등
  • 중학
  • 고교
  • 직업
    • 공인중개사
    • 9급공무원
  • EBS랑
  • 이벤트
자유롭게 즐기세요! EBS 방송 자유이용권 >
  • 스페이스 공감 관람 신청 >
  • 모여라 딩동댕 참여 신청 >
고객센터 장애인서비스
  • 서비스공지
  • EBS 소개
  • 회원탈퇴
오늘
  • 02.27Sat
  • 02.28Sun
  • 02.29Mon
  • 03.01Tue
  • 03.02Wed
  • 03.03Thu
  • 03.04Fri
  • 11 EBS1 2016.03.01 11:11 공유하기
    홈페이지 공유하기

    11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지식채널e [20년 20일 - 2부. 나무가 나무에게] EBS1 2016.03.01 13:10 공유하기
    홈페이지 공유하기

    지난 1월 15일 암과의 투병 끝에 별세한 故신영복교수.
    EBS 지식채널ⓔ는 故신영복 교수의 무기수 생활 동안 살아가는 이유가 되어준
    옥중 최고의 독서와 그로부터 얻은 깨달음에 대해 이야기 한다.

    * 방송일시: 2016년 3월 1일 (화) 낮 12시 40분, 밤 12시 5분

    가장 낮은 곳에서 살아남기
    - “한 가지 분명한 것이 있다면 교도소가 ‘밑바닥’이라는 사실입니다.”
    -1987. 3. 21. 계수님께 보내는 편지 中
    故신영복 교수는 20년 넘게 수감되었던 교도소를 ‘밑바닥’이라고 표현했다. 살면서 마주하지 못했던, 마주할 일 없었던 재소자들과 생활해야만 했다. ‘세상의 끝’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가 선택한 전략은 ‘독서’였다. 재소자에게 허락된 단 3권의 책으로, 살아남기 위한 독서는 시작되었다. 하지만 신문지 한 장 크기의 햇볕이 전부이며 욕설과 행패, 거짓말이 난무하는 감옥에서 시작된 독서는 그 한계가 분명했다.

    세상의 끝에서 찾아낸 최고의 독서, 경청
    - “그 사람의 인생사를 경청하는 것을 최고의 ‘독서’라고 생각했습니다.”
    故신영복 교수는 감옥에서의 독서가 ‘생각이 땅을 잃고 공중으로 부양하는 느낌’이었다고 말한다. 처절한 주변 환경, 생활과는 전혀 관련 없는 독서였기 때문이다. 그제야 故신영복 교수는 자신이 책을 통해 배운 인생이 반쪽뿐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는 곧 사람들의 인생 하나하나를 경청하는 것이 최고의 독서임을 느낀다. 수많은 사람들의 엄청난 사연들은 ‘하루하루가 팔만대장경’이었다. 가장 낮은 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인생 그 자체가 故신영복 교수가 옥중에서 무기수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된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먼 여행은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입니다.”
    - 진정한 학습의 완성을 위해 실천을 강조한 故신영복 교수
    故신영복 교수는 사람을 나무에 비유하였다. 어느 지역이나 시간에 던져진 나무처럼, 주어진 조건에서 최선을 다해 사는 점이 나무와 같다고 생각한 것이다. “나무의 완성이란 낙락장송(落落長松)이 되는 게 아니라 다른 나무들과 함께 숲이 되는 것이다.” 故신영복 교수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단순히 ‘가슴’으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그들과 함께 ‘발’로 뛰며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EBS 지식채널ⓔ는 지난 1월 15일 암과의 투병 끝에 향년 75세의 나이로 별세한 故신영복 교수의 인생, 특히 감옥에서 보낸 20년에 주목해 ‘20년 20일’ 2부작을 제작했다. 지난 16일 방송된 ‘1부 햇볕’편에 이어, 가장 낮은 곳에서 무기수로 살아남기 위한 과정에서 얻어낸 깨달음을 담아낸 ‘2부 나무가 나무에게’편은 3월 1일 낮 12시 40분과 같은 날 밤 12시 5분에 방송할 예정이다.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세계테마기행 [안데스의 영혼을 찾아서, 칠레 2부. 사막 여행의 메카, 아타카마] EBS1 2016.03.01 20:50 공유하기
    홈페이지 예고영상 공유하기

    칠레 북부에 있는 아타카마 사막(Atacama Desert)은 중국의 고비사막,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과 더불어 세계 3대 사막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인류가 기상을 관측한 이래 비가 단 한차례도 오지 않은 곳이 있을 정도로 지구에서 가장 메마른 곳이다. 칠레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 산 페드로 데 아타카마(San Pedro de Atacama)는 아타카마 사막으로 떠나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여행자의 마을이기도 하다. 여기서 잠시 숨을 고르고 본격적인 사막 탐방을 시작한다. 지구보다 달의 형상과 흡사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 장비 시험 장소로도 쓰였던 달의 계곡(Valle de la Luna), 영겁의 시간이 빚어낸 소금 크리스털을 만날 수 있는 소금 동굴, 과거 바다였음을 알 수 있는 광대한 소금 사막을 만나고 염분 농도가 높아 수영을 못해도 몸이 둥둥 뜬다는 칠레의 사해, 세하르 호수(Laguna Cejar)에서 신비한 체험을 해본다.
    황량한 사막 한 구석에서 발견한 오아시스 헤레스 계곡(Quebrada de Jerez). 물줄기를 따라가다 만난 인디오들의 마을, 토코나오에 들러 현지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본다. 고지대에 사는 동물인 라마는 평균 해발 4,000m인 안데스 산지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동물. 해발고도 2,600m 사막에 위치한 토코나오(Toconao)마을 역시 마찬가지. 이 마을 사람들은 예부터 선인장 가시로 만든 뜨개바늘로 라마털을 짜며 살아갔다고 한다. 토코나오 마을에 들러 척박한 환경에서도 지혜롭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본다.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 한국기행 [겨울왕국 울릉도]
    한국기행 [겨울왕국 울릉도]
    한국기행 [겨울왕국 울릉도] EBS1 2016.03.01 21:30 공유하기
    홈페이지 예고영상 공유하기


    2부. 눈의 천국, 나리분지

    화산섬 울릉도의 유일한 평지 나리분지는 울릉도의 그 어떤 지역보다 눈이 많이 온다. 평균 적설량이 3m에 달하기에 제설차도 들어오기 힘든 이곳은, 내리는 폭설에 길이 통제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그 탓에 고립이 일수라는데 나리분지까지 가는 길조차 쉽지 않다. 겨울에는 집 밖을 나서기도 힘든 나리분지 사람들은 어떻게 겨울을 날까? 겨울은 나리분지의 유일한 휴식기이자 마을 사람들 간의 화목의 계절이다. 봄이 되면 다시 바삐 움직여야하기에 나리분지 사람들은 겨울의 한가함을 즐긴다. 26년전 울릉도를 모르고 시집온 김두순씨는 마을 할머니들과 종발윷놀이를 한다. 저마다 몇 십년을 갈고 닦은 손놀림으로 엎치락뒤치락 하다보면, 작은 종발 안에 담긴 작달막한 윷 하나에 처녀적 웃음이 꺄르르 피어난다. 종발윷놀이가 끝난 후 출출한 속을 달래주는 건 울릉도식 감자떡국이다. 논이 없어 쌀보단 감자같은 밭작물이 주식이던 울릉도만의 옛 떡국이다. 감자를 찌고 지지고, 어렵던 옛 시절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그 맛을 다시 맛본다. 울릉도에는 옛 전통가옥인 투막집이 있다. 억새를 엮어 우데기를 만들어 덮은 이곳은, 고영환 이숙희 부부가 지난 삶을 보낸 곳이다. 지금은 텅 비어 찬바람만 채우지만, 부부는 아직도 그 당시가 눈에 선하다. 눈이 오면 날이 새는지도 모르고 살았다는 울릉도의 옛 시절 이야기를 들어본다.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시대공감-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초보 무당, 내 아내] EBS1 2016.03.01 23:35 공유하기
    홈페이지 예고영상 공유하기

    3월1일 첫 방송 되는 <시대 공감, 미스터리 휴먼다큐 그 사람> 에서는 휴먼다큐 최초로!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숨기고 시청자와 숨바꼭질을 벌인다. 같은 직업을 가진 세 명의 사람들이 등장하고 그들의 흥미로운 일상이 펼쳐지는 가운데 시청자들은 주인공이 누군지를 찾아야 한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무당> 그리고 그 무당을 아내로 둔 남편의 인터뷰 속에 아내가 누구인지 찾을 수 있는 단서들이 제공된다.

    주인공의 남편 강성욱 씨는 신내림 받은 지 얼마 안 된 초보 무당 아내 곁을 지키고 있다.
    아내가 신내림을 받은 건 불과 4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고등학교 때부터 귀신을 보고 무병을 앓아왔던 아내, 아내가 신내림을 받은 이유는 하나밖에 없는 다섯 살짜리 아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말 때문이었다. 그래서 아내는 신내림을 선택했다.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는 그녀가 신내림을 받았으니 사람들은 남편이 아내의 곁을 떠날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오히려 남편은 무당인 아내의 직업이 전문직이고 그녀가 일하는 모습을 보면 멋지고 신뢰감이 생긴다고 말한다. 아내를 누구보다 지지하고 응원하고 있다. 사람들의 예상을 뒤집은 것이다.

    그리고 남편 성욱 씨의 아내를 찾기 위해 또 다른 무당들의 일상을 들여 다 보면 우리와 똑같이 살이 쪄서 고민하고, 외모에 관심 많고, 여행도 가고 싶어 하고, 맛있는 것 먹기 좋아하고 가족들 이야기에 눈물 짓는다. 어쩌면 사람들의 선입견에 갇혀 지내는 무당들의 삶 그러나 주인공을 찾기 위해 무당들의 사연에 귀 기울이다 보면 우리와 다를 것 같았던 무당 역시 너 나 할 것 없이 비슷한 희로애락을 느끼고 관계를 맺으면 살아가는 존재임을 확인하게 된다.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 인문학 특강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 -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 EBS1 2016.03.01 24:10 공유하기
    홈페이지 예고영상 공유하기

    "인간과 침팬지의 DNA는 99.4% 일치한다. 즉, 인간은 99.4% 침팬지다."
    그런데 왜 침팬지는 아직도 정글에 있으며, 인간은 어떻게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을까?
    20만 년 전, 처음 지구에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는 수많은 생물들이 탄생하고 멸절하는 중에도 꿋꿋이 살아남아 지구의 정복자가 되었다.
    인간의 파란만장한 진화의 역사와 인간 존재의 의미를 과학은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또 인간에 대한 과학의 증명으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가?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밤 12시 10분에 방송되는 EBS 인문학 특강에서는 진화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장대익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의 <과학으로 말하는 인간>이라는 제목의 강의를 마련했다.

    3월 1일에 방송될 2강, ‘인간은 초모방적 동물이다’에서는 여러 과학적 실험을 통해 증명된 인간의 놀라운 모방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모방 능력이 인간만의 문화와 문명을 만들어냈음을 증명한다. 또한 새로운 문화 유전자의 개념인 ‘밈(meme)’에 대해 이해하고, 과학이 21세기 인문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이해한다.

    장대익 교수는 “오늘날 인간에 대해 가장 새로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은 과학”이라며 “새로운 가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인간에 대한 과학적 탐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문사철 중심의 좁은 인문학에서 벗어나 과학이 포함된 인간학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과학적 시각으로 인간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이번 강의는 2월 29일(월), 3월 1일(화) 밤 12시 10분에 방송된다.

    내용 전체보기

    공유하기

    close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톡
    • 라인
    닫기
    sns_dim

공유하기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공지

더보기
  • [2020 EBS 시청자위원회] 후보자 추천 안내
  • [2019 EBS 시청자상] 시청자 투표 안내
  • EBS 개인정보처리방침 변경 사전 안내
  • 다큐프라임 기획안 공모 안내

이벤트 공지

더보기
  • [EBS중학프리미엄] 수강평을 부탁해New
  • 엄마까투리 시즌3 런칭기념 이벤트New
  • 2020 EBS직업 공인중개사 온라인 합격전략 설명회New
  • [EBSMath] 좋아요♥ 이벤트New
  • EBS소개
  • EBS공고
  • 저작권 침해 제보
  • EBS클린신고
  • 제휴문의
  • 협찬/광고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EBS 초등
  • EBS 중학
  • EBSi (고교)
  • EBSe (영어)
  • EBS랑 (외국어)
  • EBS MATH (수학)
  • 이솦 (소프트웨어)
  • EBS 클립뱅크
  • 스페이스공감 (공연)
  • EIDF (다큐영화제)
  • 사회공헌 홈페이지
  • EBS원격교육연수원
  • EBS 전화/화상 외국어
  • EBS 미디어
원격지원FAQ
1588-1580 helpdesk@ebs.co.kr
10393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한류월드로 281 한국교육방송공사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1343 (한국교육방송공사사장 김명중)

시청자불만전담 :hotline@ebs.co.kr부가통신사업신고 : 10077 통신판매업신고 : 고양일산동-1415호[사업자정보확인]


Copyright ⓒ EBS. All Rights Reserved.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PIMS 인증 [인증범위] 교육 포털 웹서비스[유효기간] 2016.11.19~2019.11.14
  • 고객센터
  • 로그인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장 김명중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한류월드로 281 (장항동 한국교육방송공사)
  • 연락처 1588-1580(대표전화/고객센터)
    helpdesk@ebs.co.kr
  • 사업자등록번호 229-82-01343
  • 통신 판매업 신고번호 고양일산동-1415호[사업자정보확인]

축하합니다.
응모하신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배송정보를 입력해주세요.

배송정보 입력하기 >>